복지 / / 2024. 2. 21. 01:00

정신역동이론 이해,프로이트이론,에릭슨이론 그리고 사회복지 실천에의적용

728x90
반응형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연구에 뿌리를 두고 에릭 에릭슨(Erik Erikson)과 같은 후속 학자들에 의해 확장된 정신역동 이론은 무의식을 깊이 파고들어 유아기 경험, 내부 갈등 및 대인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글은 정신역동 이론의 세 가지 주요 분야, 즉 프로이트 이론, 에릭슨 이론, 사회복지 실천에 정신역동 원리의 통합을 설명합니다.

1. 프로이트 이론

종종 정신분석학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인간의 정신과 행동에 대한 이해에 혁명을 일으킨 프로이트 이론의 기초를 놓았습니다. 프로이트 이론의 핵심은 억압된 욕망, 기억, 본능이 개인의 생각과 행동을 형성하는 무의식의 개념입니다.

프로이트 이론의 주요 교리

a. 마음의 구조: 프로이트는 이드, 자아, 초자아로 구성된 정신의 삼자 모델을 제안했습니다. 이드는 본능의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쾌락 원칙에 따라 작동하는 반면, 자아는 이드의 충동과 초자아의 도덕적 제약 사이를 중재합니다.

b. 심리성적 발달: 프로이트는 구강, 항문, 남근, 잠복기 및 생식기 등 성심리 발달 단계를 설명했으며, 각 단계의 갈등과 집착은 성격 발달에 영향을 미칩니다.

c. 방어 메커니즘: 프로이트는 개인이 현실을 왜곡하거나 위협적인 생각을 억제하여 불안에 대처하기 위해 사용하는 억압, 투사, 대체와 같은 방어 메커니즘을 식별했습니다.

d. 꿈 분석 및 자유 연상: 프로이트는 꿈이 "무의식으로 가는 왕도" 역할을 한다고 믿고 무의식적인 갈등과 욕망을 찾아내기 위해 꿈 분석 및 자유 연상과 같은 기술을 활용했습니다.

e. 정신분석: 프로이트 원칙은 정신분석 치료의 기반을 형성합니다. 여기서 치료사는 고객이 자유 연상, 꿈 분석 및 전이를 통해 무의식적 갈등, 어린 시절 경험 및 방어 메커니즘을 탐구하도록 돕습니다. f.

성격 평가: 원초아, 자아, 초자아와 같은 프로이트의 개념은 정신역동 진단 매뉴얼(PDM)과 같은 성격 평가 도구에 정보를 제공하여 내담자의 심리적 기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에릭소니언 이론

프로이트의 제자인 에릭 에릭슨(Erik Erikson)은 정신역학 원리를 확장하여 전 생애에 걸쳐 심리사회적 발달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프로이트가 정신성적 단계를 강조한 것과는 달리, 에릭슨은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과 관계를 형성하는 실존적 위기와 씨름하는 일련의 심리사회적 단계를 제안했습니다.

a. 에릭소니언 이론의 주요 교리

 8가지 발달 단계: Erikson은 신뢰 대 불신(유아기), 자율성 대 수치심 및 의심(유아기), 성실성 대 절망(성인 후기)과 같은 발달 과제 또는 위기로 특징지어지는 8가지 심리사회적 단계를 설명했습니다.

b. 정체성 형성: 에릭슨 이론의 핵심은 정체성 형성의 개념입니다. 여기서 청소년은 정체성 대 역할 혼란 단계를 탐색하고 일관된 자아감을 확립하기 위해 다양한 역할과 헌신을 탐구합니다

c. 위기 해결 및 미덕 개발: 각 심리사회적 위기의 성공적인 해결은 신뢰, 자율성, 주도성, 역량, 지혜와 같은 미덕의 개발을 촉진하여 건강한 성격 발달에 기여합니다.

d. 수명 관점: 프로이트가 유아기에 초점을 맞춘 것과는 달리, 에릭소니언 이론은 전체 수명을 포괄하며 개인이 계속해서 심리사회적 문제에 직면하고 성인기 전반에 걸쳐 정체성 탐구에 참여한다는 점을 인식합니다.

임상 실습에 에릭소니언 이론을 적용

e. 발달 상담: Erikson의 원칙은 상담사가 특히 청소년기와 청년기 동안 내담자의 발달 문제를 이해하고 정체성 탐색을 촉진하도록 안내합니다

.f. 세대 간 역학: Erikson의 이론은 한 세대에서 해결되지 않은 심리사회적 위기가 다음 세대의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인식함으로써 치료사가 세대 간 갈등과 가족 역학을 다루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정신역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정신역동적 원리를 사회 복지 실천에 통합하면 개인의 복지 증진, 자기 인식 강화, 사회 변화 촉진을 목표로 하는 개입이 강화됩니다. 정신역동적 사회사업은 개인의 심리사회적 기능에 대한 사회 구조의 영향을 인식하면서 내부 역학과 외부 시스템 간의 상호 작용을 강조합니다.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정신역동 이론의 주요 교리:

a. 전체적 평가: 사회복지사는 정신역학 원칙을 활용하여 클라이언트의 과거 경험, 가족 역동성 및 사회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근본적인 문제와 강점을 파악하는 등 종합적인 평가를 수행합니다.

b. 공감적 참여: 사회복지사는 정신역학적 공감을 바탕으로 고객과 공감적 관계를 구축하여 감정, 관계 패턴 및 무의식적 갈등을 탐구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만듭니다.

c. 트라우마 정보 실천: 정신역동적 사회사업은 트라우마 정보 접근 방식을 통합하여 과거의 트라우마와 애착 중단이 개인의 대처 전략과 대인 관계를 어떻게 형성하는지 인식합니다.

d. 옹호 및 사회 정의: 정신역동적 원칙은 체계적 불평등을 해결하고 소외된 인구를 옹호하며 개인의 심리사회적 웰빙을 지원하는 사회 정책을 촉진하기 위한 옹호 활동에 대해 알려줍니다.

e. 치료적 개입: 사회복지사는 반사적 경청, 공감적 조율, 해석과 같은 정신역학적 기술을 개인 및 그룹 개입에 통합하여 자기 성찰과 정서적 통찰력을 육성합니다.

f.  지역사회 참여: 정신역동적 사회사업은 개별 치료를 넘어 지역사회 기반 개입으로 확장됩니다. 여기서 사회복지사는 집단적 트라우마를 해결하고 회복력을 촉진하며 사회적 결속을 촉진하기 위해 지역사회와 협력합니다.

g. 정책 옹호: 정신역동적 관점은 사회 복지 시스템 개혁, 정신 건강 관리 접근에 대한 체계적 장벽 해결, 공평한 자원 분배 촉진을 목표로 하는 정책 옹호 노력을 알려줍니다.

결론: 프로이트 이론, 에릭슨 이론, 그리고 사회복지 실천에 정신역동적 원리를 통합하는 것은 인간 행동을 이해하고 개인 성장을 촉진하며 사회 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포괄적인 틀을 제공합니다. 무의식의 깊이를 탐구하고, 발달 단계를 인정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다룸으로써 정신역동 이론은 계속해서 우리의 이해를 풍부하게 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